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작위 요구자/아시아/인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작위 요구자/아시아

1. 개요
2. 등재 기준
3. 현재 작위 요구자 목록
3.1. 국가
3.1.1. 마라타 제국 차트라파티
3.1.2. 무굴 제국 황제
3.1.3. 인도 황제
3.2. 지방
3.2.1. 비자야나가라 황제
3.2.2. 사타라 번왕
3.2.3. 자스완 국왕
3.2.4. 카르나티크 술탄
3.2.5. 오우드 국왕
3.2.6. 완카네르 국왕
3.2.7. 벵골 나왑
3.2.8. 말푸르 국왕
3.2.9. 아르콧 나왑
3.2.10. 자이살메르 국왕
3.2.11. 부르드완 국왕
3.2.12. 카푸르탈라 국왕
3.2.13. 바소다 나왑
3.2.14. 바라트푸르 국왕
3.2.15. 칼라한디 국왕
3.2.16. 키샹가르 국왕
3.2.17. 콜라푸르 국왕
3.2.18. 트라방코르 국왕
3.2.19. 파리드콧 국왕
3.2.20. 파탄 국왕
3.2.21. 일롤 타쿠르
3.2.22. 비카네르 국왕
3.2.23. 모하마드가르 나왑
3.2.24. 마이소르 국왕
3.2.25. 라티 국왕
3.2.26. 람푸르 나왑
3.2.27. 레와 국왕
3.2.28. 로하루 나왑
3.2.29. 림브디 타쿠르 사힙
3.2.30. 라지파라 타쿠르
3.2.31. 다달리아 라자 사힙
3.2.32. 다르 국왕
3.2.33. 둥가르푸르 국왕
3.2.34. 드랑가드라 국왕
3.2.35. 라고가르 국왕
3.2.36. 라이라콜 국왕
3.2.37. 라지가르 국왕
3.2.38. 라지피플라 국왕
3.2.39. 마이하르 국왕
3.2.40. 마크라이 국왕
3.2.41. 말레르코틀라 나왑
3.2.42. 무돌 국왕
3.2.43. 단타 국왕
3.2.44. 데와스 시니어 국왕
3.2.45. 뎅카날 국왕
3.2.46. 나르싱가르 국왕
3.2.47. 괄리오르 국왕
3.2.48. 나야가르 국왕
3.2.49. 나와나가르 잠 사헵
3.2.50. 바라나시 국왕
3.2.51. 바브나가르 국왕
3.2.52. 메와르 국왕
3.2.53. 빌라스푸르 국왕
3.2.54. 사바누르 나왑
3.2.55. 사일라나 국왕
3.2.56. 자소 디완
3.2.57. 시르무르 국왕
3.2.58. 자쉬푸르 국왕
3.2.59. 자오라 나왑
3.2.60. 참바 국왕
3.2.61. 초타-우다이푸르 국왕
3.2.62. 추이카단 국왕
3.2.63. 카니아다나 국왕
3.2.64. 캄타-라자울라 국왕
3.2.65. 캉그라 국왕
3.2.66. 케온자르 국왕
3.2.67. 킬치푸르 국왕
3.2.68. 쿠치 국왕
3.2.69. 잠칸디 국왕
3.2.70. 밤라 국왕
3.2.71. 방가나팔레 나왑
3.2.72. 조드푸르 국왕
3.2.73. 주나가드 나왑
3.2.74. 진드 국왕
3.2.75. 티기리아 국왕
3.2.76. 수르가나 데쉬무크
3.2.77. 수르구자 국왕
3.2.78. 수케트 국왕
3.2.79. 부샤르 국왕
3.2.80. 파타우디 나왑
3.2.81. 파트나 국왕
3.2.82. 파티알라 국왕
3.2.83. 팔탄 국왕
3.2.84. 푸두코타이 국왕
3.2.85. 피플로다 국왕
3.2.86. 하이데라바드 니잠
3.2.87. 힌돌 국왕
3.2.88. 자이푸르 국왕
3.2.89. 잔지라 나왑
3.2.90. 아운드 국왕
3.2.91. 아칼콧 국왕
3.2.92. 알리라지푸르 국왕
3.2.93. 보르 국왕
3.2.94. 바스타르 국왕
3.2.95. 반스다 국왕
3.2.96. 발라시노르 국왕
3.2.97. 보팔 나왑
3.2.98. 알와르 국왕
3.2.99. 잘라와르 국왕
3.2.100. 마니푸르 국왕
3.2.101. 마유르반지 국왕
3.2.102. 돌푸르 국왕
3.2.103. 가르왈 국왕
3.2.104. 곤달 국왕
3.2.105. 카라울리 국왕
3.2.106. 통크 나왑
3.2.107. 트리푸라 국왕
3.2.108. 프라탑가르 국왕
3.2.109. 분디 국왕
3.2.110. 시로히 국왕
3.2.111. 코친 국왕
3.2.112. 코타 국왕
3.2.113. 산두르 국왕
3.2.114. 바로다 국왕
3.2.115. 바라운다 국왕
3.2.116. 삼타르 국왕
3.2.117. 판나 국왕
3.2.118. 차르카리 국왕
3.2.119. 차타르푸르 국왕
3.2.120. 인도레 국왕
3.2.121. 다티아 국왕
3.2.122. 두르와이 디완
3.2.123. 나고드 국왕
3.2.124. 잠무 카슈미르 국왕
3.2.125. 쿠틀레하르 국왕
3.2.126. 시킴 초걀


1. 개요[편집]


인도작위 요구자를 다루는 문서.


2. 등재 기준[편집]


이 문서는 상위 문서인 작위 요구자의 정의에 따른 현재 인도의 작위 요구자들을 나열한 목록 문서이다.
  • 해당 국가가 현재까지 존재하거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적법한 근거를 가지고 해당 작위를 주장한 사례가 있었던 경우.
  • 혈통을 통해 세습되는 왕위나 작위와 같이 만약 해당 정권이 존속했다면 해당 정권의 주권을 이어받을 수 있는 누군가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등재하며, 계승권을 실제로 주장하는지 아닌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작위 이외에 영토에 대한 권리 주장.
  • 작위 소유자가 공식적으로 해당 작위를 포기, 또는 해체한 경우.
  • 식민국가나 피정복국가가 독립하고, 상대국이 해당국가를 인정한 경우에 해당하면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 합의

토론 합의에 따라, 근대 이후 공화국의 독재자가 직위를 자손에게 계승했거나 계승하려 시도한 경우는 등재하지 않는다. 단 근대 이후 공화국의 독재자라도 '몽골의 칸' 등 세습 군주의 칭호를 자칭한 경우는 등재한다.


3. 현재 작위 요구자 목록[편집]



3.1. 국가[편집]



3.1.1. 마라타 제국 차트라파티[편집]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관련 칭호차트라파티[1]
사타라 번왕
작위 요구자우다얀라제 보살레
전임자프라타프신라제 보살레
후임자비르프라타프신라제 보살레
계승 실패 원인1818년 제국 해체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의 힌두교 탄압에 대한 분노로 세워진 마라타 제국은 '차트라파티' 라는 명칭의 군주가 다스리면서 북인도 힌두교의 중흥을 이끌었으나, 결국 1818년에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하여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받는 여러 토후국들로 나누어져 해체되었다. 마라타 동맹의 역대 차트라파티를 배출했던 본슬레 가문의 현 수장은 우다얀라제 보살레다.


3.1.2. 무굴 제국 황제[편집]


파일:무굴 제국 국장.svg
관련 칭호무굴 제국 황제(파디샤)
인도 황제[2]
작위 요구자미르자 굴람 마이누딘 무함마드 자바이드 자 바하두르
전임자무함마드 카이르 웃 딘 미르자 쿠르시드 자 바하두르
후임자미르자 샤루크 자바이드 자 바하두르
계승 실패 원인1857년 무굴 제국 멸망
1783년에 마라타 동맹의 봉기로 인해 빈 껍데기만 남은 무굴 제국은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에 의해 인도의 지배권을 거의 상일한 상태였으나, 동인도 회사의 폭정과 인도인에 대한 차별과 억압, 착취에 분개한 이들에 의해 세포이 항쟁이 일어나자, 무굴 제국의 황제였던 바하두르 샤 2세는 즉각 스스로를 인도의 황제로 선언하였다. 그러나 결국 영국 군대에 의해 크게 패배한 뒤에 세포이 항쟁에 가담했던 바하두르 샤 2세 본인은 역시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던 미얀마양곤으로 추방당해 1862년에 죽었고, 그의 두 손자들은 공개처형당했다.[3][4] 이후 바하두르 샤 2세의 후손인 미르자 굴람 마이누딘 무함마드 자바이드 자 바하두르가 명목상의 무굴 제국 황제위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끼니를 잇기 어려운 그의 형편상 생계형(...) 작위 요구자라고 불러도 무방하다.


3.1.3. 인도 황제[편집]


파일:인도 제국 국장.svg 파일:무굴 제국 국장.svg
관련 칭호인도 황제
무굴 제국 황제(파디샤)[미르자]
티무르 아미르[미르자]
몽골 귀르겐[미르자]
하노버 국왕[에른스트]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에른스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에른스트]
작위 요구자(하노버 왕조)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5세
(무굴 제국 황제)
미르자 굴람 마이누딘 무함마드 자바이드 자 바하두르
전임자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무함마드 카이르 웃 딘 미르자 쿠르시드 자 바하두르
후임자에른스트 아우구스트[5]미르자 샤루크 자바이드 자 바하두르
계승 실패 원인1857년 무굴 제국 멸망(무굴 제국 황제)
1901년 왕조 교체, 1947년 제국 해체, 1950년 영연방 입헌군주제 폐지(하노버 왕조)
하노버 왕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의 왕위 요구자는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3세부터 영국 왕족임을 자칭하면서[6] 대대로 영국 하노버 왕조의 왕위도 요구하게 되었다.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는 무려 영국 국적까지 취득하여 독일과 영국의 이중국적자가 되었다. 인도 제국이 해체되어 힌두교도가 대다수인 인도 자치령과 무슬림이 대다수인 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나누어진 것과 이후 해당 자치령들이 영연방 입헌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이 된 건 모두 윈저 왕조 때의 일이므로, 하노버 왕조의 입장에선 받아들일 이유가 없다.

무굴 제국의 황제위 요구자도 세포이 항쟁 당시에 바하두르 샤 2세가 전 인도의 황제임을 선포한 이래로 역시 인도의 황제위 요구자를 겸하고 있다.


3.2. 지방[편집]



3.2.1. 비자야나가라 황제[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Flag_of_vijaynagara.jpg
관련 칭호비자야나가라 황제
작위 요구자크리슈나 데바라야
계승 실패 원인1646년 제국 멸망
중세 남인도 최후의 힌두교 통일왕조였던 비자야나가라 제국데칸 술탄국 중 하나였던 비자푸르 술탄국에 의해 멸망했다. 현재 크리슈나 데바라야가 명목상의 비자야나가라 황제 칭호를 쓰고 있다.


3.2.2. 사타라 번왕[편집]


관련 칭호차트라파티
사타라 번왕
작위 요구자우다얀라제 보살레
전임자프라타프신라제 보살레
후임자비르프라타프신라제 보살레
계승 실패 원인1848년 왕통 단절
1849년 영국 직할령으로 전환
사타라 번왕국은 마라타 동맹의 후신이었으며, 그에 따라 마라타 동맹 최후의 차트라파티인 프라타프 싱이 사타라 번왕국의 초대 번왕이 되었다. 하지만 사타라 번왕국은 영국의 주도로 마라타 동맹이 격하된 거라 제대로 된 주권이 없다시피 했다. 사타라 번왕국의 2대 번왕이며 프라타프 싱의 양자인 샤하지가 1848년에 아들 없이 사망하면서 사타라 번왕 계보는 단절되었으며, 이듬해인 1849년에 사타라 번왕국 영토는 영국의 직할령이 되었다. 마라타 동맹 차트라파티 가문인 본슬레 가문이 사타라 번왕까지 배출했으므로 마라타 동맹의 차트라파티위 요구자인 우다얀라제 보살레는 사타라 번왕국의 왕위 요구자이기도 하다.


3.2.3. 자스완 국왕[편집]


관련 칭호자스완 국왕
자스완 번왕
작위 요구자나겐드라 싱
전임자차인 싱
계승 실패 원인1849년 왕국 멸망


3.2.4. 카르나티크 술탄[편집]


카르나티크 술탄국 국장
관련 칭호카르나티크 술탄
작위 요구자무함메드 압둘 알리
전임자굴람 모함메드 압둘 카데르
계승 실패 원인1855년 술탄국 멸망


3.2.5. 오우드 국왕[편집]


오우드 왕국 국장
관련 칭호오우드 국왕
오우드 번왕
작위 요구자사히브자다 샤한샤 미르자
계승 실패 원인1859년 왕국 멸망


3.2.6. 완카네르 국왕[편집]


완카네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완카네르 국왕
완카네르 번왕
작위 요구자케스리데브신 잘라
계승 실패 원인1859년 왕국 멸망


3.2.7. 벵골 나왑[편집]


벵골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벵골 나왑
작위 요구자사이드 모하메드 아바스 알리 미르자
전임자사이드 모하메드 와리스 알리 미르자 칸 바하두르
계승 실패 사유1880년 나왑국 멸망
무굴 제국의 쇠퇴를 틈타 세워진 벵골 나왑국은 마라타 동맹에 정복당했다가 이후 마라타 동맹이 영국에 패배하면서 영국 치하에서 자치령으로 부활하였으나, 결국 1880년에 인도 제국 본토에 합병되어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현 나왑위 요구자는 사이드 모하메드 아바스 알리 미르자다.


3.2.8. 말푸르 국왕[편집]


말푸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말푸르 국왕
말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사헵 슈리 크리슈나신지
전임자감비르신지 히마트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3년 왕국 멸망


3.2.9. 아르콧 나왑[편집]


아르콧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아르콧 나왑
작위 요구자무함마드 압둘 알리 칸 바하두르
전임자굴람 모하메드 압둘 카데르
후임자나왑자다 모하메드 아시프 알리
계승 실패 원인1947년 나왑국 멸망


3.2.10. 자이살메르 국왕[편집]


자이살메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자이살메르 국왕
자이살메르 번왕
작위 요구자브리지라지 싱
전임자라구나트 싱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11. 부르드완 국왕[편집]


관련 칭호부르드완 국왕
부르드완 번왕
작위 요구자사다이 찬드 메흐탑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12. 카푸르탈라 국왕[편집]


카푸르탈라 왕국 국장
관련 칭호카푸르탈라 국왕
카푸르탈라 번왕
작위 요구자수크지트 싱
전임자파람지트 싱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13. 바소다 나왑[편집]


관련 칭호바소다 나왑
작위 요구자키쉬와르 알리 칸
전임자마수드 알리 칸
계승 실패 원인1947년 나왑국 멸망


3.2.14. 바라트푸르 국왕[편집]


바라트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바라운다 국왕
바라운다 번왕
작위 요구자비쉬벤드라 싱
전임자브리젠드라 싱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15. 칼라한디 국왕[편집]


칼라한디 왕국 국장
관련 칭호칼라한디 국왕
칼라한디 번왕
작위 요구자아난트 프라탑 데오
전임자샹카르 프라탑 데오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16. 키샹가르 국왕[편집]


키샹가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키샹가르 국왕
키샹가르 번왕
작위 요구자브라지라지 싱
계승 실패 사유1947년 왕국 멸망


3.2.17. 콜라푸르 국왕[편집]


콜라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콜라푸르 국왕
콜라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샤후 2세
전임자샤하지 2세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18. 트라방코르 국왕[편집]


트라방코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트라방코르 국왕
트라방코르 번왕
작위 요구자물람 티루날 라마 바르마
전임자우트라돔 티루날 마르탄다 바르마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트라방코르 왕국은 오늘날 인도의 케랄라 주에 있던 나라다. 인도 제국 치하에서 번왕국으로 존재하던 트라방코르 왕국은 1947년에 인도 자치령이 성립되면서 인도 자치령에 합병되어 멸망했다. 현 왕위 요구자는 물람 티루날 라마와르마인데 현재 그에게 자녀는 없다.


3.2.19. 파리드콧 국왕[편집]


파리드콧 왕국 국기
관련 칭호파리드콧 국왕
파리드콧 번왕
작위 요구자사르다르 바하두르 싱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20. 파탄 국왕[편집]


관련 칭호파탄 국왕
파탄 번왕
작위 요구자디그비자이 싱
전임자비르 비크람 싱지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21. 일롤 타쿠르[편집]


관련 칭호일롤 타쿠르
작위 요구자라지딥 신지 잘라
전임자마헨드라 신지 잘라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인도에 합병


3.2.22. 비카네르 국왕[편집]


비카네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비카네르 국왕
비카네르 번왕
작위 요구자라비 라지 싱
전임자나렌드라 싱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23. 모하마드가르 나왑[편집]


모하마드가르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모하마드가르 나왑
작위 요구자알람기르 쿨리 칸
전임자무함마드 사비르 쿨리 칸
계승 실패 원인1947년 나왑국 멸망


3.2.24. 마이소르 국왕[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45px-Coat_of_arms_of_Kingdom_of_Mysore.svg.png
관련 칭호마이소르 국왕
마이소르 번왕
작위 요구자야두비르 크리쉬나다타 차마라자 워디야르
전임자스리칸타다타 나라심하라자 워디야르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영국령 인도 제국 치하에서 번왕국으로 존재하던 마이소르 왕국은 1947년에 인도가 영국의 자치령으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인도 본토에 완전히 병합되었다. 다만 왕가 자체는 계속 대를 이어가고 있으며 현 수장은 야두비르 크리쉬나다타 차마라자 워디야르다.


3.2.25. 라티 국왕[편집]


관련 칭호라티 국왕
라티 번왕
작위 요구자프랄라신지 프라탑신지
전임자프라탑신지 수르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26. 람푸르 나왑[편집]


람푸르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람푸르 나왑
작위 요구자무라드 알리 칸 바하두르
전임자무르타자 알리 칸 바하두르
계승 실패 원인1947년 나왑국 멸망


3.2.27. 레와 국왕[편집]


레와 왕국 국장
관련 칭호레와 국왕
레와 번왕
작위 요구자푸슈프라지 신지
전임자마르탄드 싱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28. 로하루 나왑[편집]


로하루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로하루 나왑
작위 요구자알라-우딘 아흐마드 칸 2세
전임자아민 우딘 아흐마드 칸
계승 실패 원인1947년 나왑국 멸망


3.2.29. 림브디 타쿠르 사힙[편집]


림브디 국장
관련 칭호림브디 타쿠르 사힙[7]
작위 요구자차타르살지 디그비자이신지
전임자디그비자이신지 다울라트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인도에 합병


3.2.30. 라지파라 타쿠르[편집]


관련 칭호라지파라 타쿠르[8]
작위 요구자유브라지사헵 키르티라지신지 라지비자이신지 자데자
전임자라지비자이신지 시바드라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인도에 합병


3.2.31. 다달리아 라자 사힙[편집]


관련 칭호다달리아 라자 사힙[9]
작위 요구자라메쉬지
전임자알지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인도에 합병


3.2.32. 다르 국왕[편집]


다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다르 국왕
다르 번왕
작위 요구자룹쿠마르라제 나라얀라오 파와르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33. 둥가르푸르 국왕[편집]


둥가르푸르 국기
관련 칭호둥가르푸르 국왕
둥가르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락슈만 싱
전임자비자이 싱
계승 실패 원인1947년 왕국 멸망


3.2.34. 드랑가드라 국왕[편집]


드랑가드라 국기
관련 칭호드랑가드라 국왕
드랑가드라 번왕
작위 요구자소드살지 마유르드와지신지
전임자메그라지 3세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35. 라고가르 국왕[편집]


관련 칭호라고가르 국왕
라고가르 번왕
작위 요구자디그비자야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36. 라이라콜 국왕[편집]


관련 칭호라이라콜 국왕
라이라콜 번왕
작위 요구자기리쉬 찬드라 데오
전임자비르 찬드라 자두마니 데오 자나무니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37. 라지가르 국왕[편집]


라지가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라지가르 국왕
라지가르 번왕
작위 요구자람 차란 싱
전임자비크라마디티야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38. 라지피플라 국왕[편집]


라지피플라 왕국 국장
관련 칭호라지피플라 국왕
라지피플라 번왕
작위 요구자라구비르 싱
전임자비자야신지 차트라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39. 마이하르 국왕[편집]


관련 칭호마이하르 국왕
마이하르 번왕
작위 요구자마하라자 고빈드 싱
전임자마하라자 브리지나트 싱 주 데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0. 마크라이 국왕[편집]


마크라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마크라이 국왕
마크라이 번왕
작위 요구자사힙 토다르 샤 하트리야 라이
전임자드리그팔 샤 하트리야 라이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1. 말레르코틀라 나왑[편집]


말레르코틀라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말레르코틀라 나왑
작위 요구자이프티카르 알리 칸
전임자아흐마드 알리 칸
계승 실패 원인1948년 나왑국 멸망


3.2.42. 무돌 국왕[편집]


무돌 왕국 국기
관련 칭호무돌 국왕
무돌 번왕
작위 요구자라제 비크람신하 고우리샹카르 고르파데
전임자파르바티데비 라제 샤힙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3. 단타 국왕[편집]


단타 왕국 국장
관련 칭호단타 국왕
작위 요구자마히펜드라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4. 데와스 시니어 국왕[편집]


데와스 시니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데와스 시니어 국왕
데와스 시니어 번왕
작위 요구자비크람 싱 라오 2세 푸아르
전임자투코지 라오 4세 푸아르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5. 뎅카날 국왕[편집]


뎅카날 왕국 국장
관련 칭호뎅카날 국왕
뎅카날 번왕
작위 요구자카마크야 프라사드 싱 데오
전임자샹카르 프라탑 싱 데브 마헨드라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6. 나르싱가르 국왕[편집]


나르싱가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나르싱가르 국왕
나르싱가르 번왕
작위 요구자라쟈바르단 싱
전임자비크람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7. 괄리오르 국왕[편집]


파일:마라타 제국 국기.svg
관련 칭호괄리오르 국왕
괄리오르 번왕
작위 요구자죠티라디티아 신디아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8. 나야가르 국왕[편집]


관련 칭호나야가르 국왕
나야가르 번왕
작위 요구자라메스와르 프라사드 싱 만다타
전임자아마렌드라 키쇼레 싱 만다타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49. 나와나가르 잠 사헵[편집]


나와나가르 국장
관련 칭호나와나가르 잠 사헵[10]
작위 요구자샤트루샬리아신지 디그비자이신지
전임자디그비자이신지 란지트신지 자데자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인도에 합병


3.2.50. 바라나시 국왕[편집]


바라나시 왕국 국장
관련 칭호바라나시 국왕
바라나시 번왕
작위 요구자아난트 나라얀 싱
전임자비부티 나라얀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51. 바브나가르 국왕[편집]


바브나가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바브나가르 국왕
바브나가르 번왕
작위 요구자비자이라지신지 비르바드라신지
전임자비르바브라신지 크리쉬나쿠마르신지 고힐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52. 메와르 국왕[편집]


메와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메와르 국왕
메와르 번왕
작위 요구자마헨드라 싱아르빈드 싱
전임자바그와트 싱
후임자비쉬와라지 싱라크쉬야라지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마헨드라와 아르빈드는 모두 전임자 바그와트의 아들이다. 이들은 현재 명목상의 메와르 왕위를 두고 서로 다투는 중이다.


3.2.53. 빌라스푸르 국왕[편집]


빌라스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빌라스푸르 국왕
빌라스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고팔 찬드
전임자아난드 찬드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54. 사바누르 나왑[편집]


관련 칭호사바누르 나왑
작위 요구자압둘 마지드 칸 바하두르
전임자압둘 라시드 칸 바하두르
계승 실패 원인1948년 나왑국 멸망


3.2.55. 사일라나 국왕[편집]


사일라나 왕국 국장
관련 칭호사일라나 국왕
사일라나 번왕
작위 요구자비크람 싱
전임자디그비자이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56. 자소 디완[편집]


관련 칭호자소 디완
작위 요구자람 프라탑 싱
전임자기르와르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57. 시르무르 국왕[편집]


시르무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시르무르 국왕
시르무르 번왕
작위 요구자우다이 프라카쉬
전임자라젠드라 프라카쉬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58. 자쉬푸르 국왕[편집]


자쉬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자쉬푸르 국왕
자쉬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라나비자이 프라탑 싱 주데브
전임자유브라자이 우펜드라 싱 주데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59. 자오라 나왑[편집]


자오라 나왑국 국기
관련 칭호자오라 나왑
작위 요구자술라이만 알리 칸 셰르바니
전임자샤힙자다 야르 무함마드 칸
계승 실패 원인1948년 나왑국 멸망


3.2.60. 참바 국왕[편집]


참바 왕국 국장
관련 칭호참바 국왕
참바 번왕
작위 요구자프렘 싱
전임자티카 락슈만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1. 초타-우다이푸르 국왕[편집]


초타-우다이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초타-우다이푸르 국왕
초타-우다이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자이 프라탑 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2. 추이카단 국왕[편집]


추이카단 왕국 국기
관련 칭호추이카단 국왕
추이카단 번왕
작위 요구자간샴 키쇼레 다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3. 카니아다나 국왕[편집]


관련 칭호카니아다나 국왕
카니아다나 번왕
작위 요구자다벤드라 프라탑 싱
전임자칼라크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4. 캄타-라자울라 국왕[편집]


관련 칭호캄타-라자울라 국왕
캄타-라자울라 번왕
작위 요구자라지브 난단 프라사드
전임자라다 키샨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5. 캉그라 국왕[편집]


캉그라 왕국 국기
관련 칭호캉그라 국왕
캉그라 번왕
작위 요구자아디티아 데브 찬드 카토치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6. 케온자르 국왕[편집]


케온자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케온자르 국왕
케온자르 번왕
작위 요구자다난자이 반지 데오
전임자아난트 나라얀 반지 데오
계승 실패 사유1948년 왕국 멸망


3.2.67. 킬치푸르 국왕[편집]


킬치푸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킬치푸르 국왕
킬치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프리야브라트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8. 쿠치 국왕[편집]


쿠치 왕국 국장
관련 칭호쿠치 국왕
쿠치 번왕
작위 요구자프라그물지 3세
전임자마단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69. 잠칸디 국왕[편집]


잠칸디 왕국 국기
관련 칭호잠칸디 국왕
잠칸디 번왕
작위 요구자샹카라오 파라슈람라오
전임자파라슈람라오 람찬드라라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0. 밤라 국왕[편집]


관련 칭호밤라 국왕
밤라 번왕
작위 요구자니테쉬 강가 데브
전임자프라딥타 강가 데브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1. 방가나팔레 나왑[편집]


방가나팔레 나왑국 국기
관련 칭호방가나팔레 나왑
작위 요구자미르 파잘레 알리 칸 4세
전임자미르 굴람 알리 칸 4세
계승 실패 원인1948년 나왑국 멸망


3.2.72. 조드푸르 국왕[편집]


조드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조드푸르 국왕
조드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가지 싱
전임자하완트
후임자시브라지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3. 주나가드 나왑[편집]


주나가드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주나가드 나왑
작위 요구자나왑자다 무함마드 자한기르 칸지
전임자무함마드 딜라와르 칸지
계승 실패 원인1948년 나왑국 멸망


3.2.74. 진드 국왕[편집]


진드 왕국 국장
관련 칭호진드 국왕
진드 번왕
작위 요구자사트비르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5. 티기리아 국왕[편집]


관련 칭호티기리아 국왕
티기리아 번왕
작위 요구자비르 프라탑 비르바르 차무파티 싱 마하파트라
전임자브라지라지 크샤트리아 비르바르 차무파티 싱 마하파트라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6. 수르가나 데쉬무크[편집]


수르가나 국장
관련 칭호수르가나 데쉬무크[11]
작위 요구자니트란잔 다이리아실 라오
전임자다이리아실 라오 자쉬완트 라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7. 수르구자 국왕[편집]


수르구자 왕국 국기
관련 칭호수르구자 국왕
수르구자 번왕
작위 요구자트리부바네슈와르 사란 싱 데오
전임자라마누지 사란 싱 데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8. 수케트 국왕[편집]


수케트 왕국 국장
관련 칭호수케트 국왕
수케트 번왕
작위 요구자하리 센
전임자락슈만 센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79. 부샤르 국왕[편집]


관련 칭호부샤르 국왕
부샤르 번왕
작위 요구자비크라마디트야 싱
전임자비르바드라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0. 파타우디 나왑[편집]


관련 칭호파타우디 나왑
작위 요구자사이프 알리 칸
전임자만수르 알리 칸 파타우디
계승 실패 원인1948년 나왑국 멸망
상술한 이유에 따라 사이프 알리 칸은 보팔 나왑위도 요구하고 있다.


3.2.81. 파트나 국왕[편집]


파트나 왕국 국기
관련 칭호파트나 국왕
파트나 번왕
작위 요구자카낙 바르단 싱 데오
전임자라지 라지 싱 데오
후임자니브리티 쿠마리 싱 데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2. 파티알라 국왕[편집]


파티알라 왕국 국장
관련 칭호파티알라 국왕
파티알라 번왕
작위 요구자아마린데르 싱
전임자야다빈드라 싱
후임자라닌데르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3. 팔탄 국왕[편집]


팔탄 왕국 국기
관련 칭호팔탄 국왕
팔탄 번왕
작위 요구자말로지 4세
전임자무도지 4세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4. 푸두코타이 국왕[편집]


푸두코타이 왕국 국장
관련 칭호푸두코타이 국왕
푸두코타이 번왕
작위 요구자라자고팔라 톤다이만
전임자라자고팔라 톤다이만[12]
후임자프리트비라지 톤다이만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5. 피플로다 국왕[편집]


관련 칭호피플로다 국왕
피플로다 번왕
작위 요구자라구라지 싱
전임자망갈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6. 하이데라바드 니잠[편집]


하이데라바드 왕국 국장
관련 칭호하이데라바드 니잠[13]
아사프 자[14]
작위 요구자미르 피라사트 알리 칸
전임자미르 오스만 알리 칸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1724년 이래로 영국의 형식적인 식민지 등을 거쳐서 독립 왕국으로 남아있던 하이데라바드힌두교의 세가 절대적인 남인도에서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나라였고, 그래서 1947년에 인도가 독립하자[15], 힌두교도가 많은 인도에 합류하길 거부하고 이슬람교가 국교인 파키스탄으로의 귀속을 선언했다. 그러나 파키스탄 측은 자국의 본토에서 너무 멀다는 이유로 하이데라바드 왕국의 귀속을 거부했고[16], 하이데라바드의 주민들은 왕실의 생각과는 달리 인도에 합병되길 희망하여[17] 상황은 점점 엉망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결국 니잠인 미르 오스만 알리 칸[18]이 이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이데라바드의 독립을 선포했으나, 곧바로 쳐들어 온 인도군의 압도적인 화력을 이기지 못해 금방 패망했고, 왕실은 사우디아라비아로 추방당했다. 현재 옛 하이데라바드 왕국의 영토는 언어권에 따라, 안드라프라데시 주와 텔랑가나 주 등으로 분할되어 왕실 부활의 여지가 없어져버렸다.

멸망 당시 미르 오스만 알리 칸이 영국런던에 있는 파키스탄 고등판무관 계좌에 100만 파운드를 잠시 맡겼는데, 나중에 돌려달라고 하자 파키스탄 정부가 돌려줄 수 없다고 하여 소송전이 벌어졌다. 파키스탄 정부가 외교관 계좌라는 이유로 면책특권을 주장하여 소송이 멈췄다가 2013년부터 재개됐는데, 2019년 10월 3일에 오스만의 후손들이 승소하여 그동안의 이자까지 3500만 파운드를 돌려받게 되었다. 파키스탄 정부의 항소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승소 시 돈을 나눠받기로 합의한 인도 정부는 판결을 환영했다. 기사


3.2.87. 힌돌 국왕[편집]


관련 칭호힌돌 국왕
힌돌 번왕
작위 요구자라지 샤헵 샤일렌드라 나라얀 신데오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8. 자이푸르 국왕[편집]


자이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자이푸르 국왕
자이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디야 쿠마리 싱
전임자바와니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89. 잔지라 나왑[편집]


잔지라 나왑국 국기
관련 칭호잔지라 나왑
작위 요구자쿨숨 베굼
전임자모하마드 칸 2세
계승 실패 원인1948년 나왑국 멸망


3.2.90. 아운드 국왕[편집]


아운드 왕국 국기
관련 칭호아운드 국왕
아운드 번왕
작위 요구자슈리만트 바그완트 라오 트림바크
전임자바완라오 슈리니와스라오 판트 프라티니디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91. 아칼콧 국왕[편집]


아칼콧 왕국 국기
관련 칭호아칼콧 국왕
아칼콧 번왕
작위 요구자마조지라오 라제 보슬레
전임자수미트라바이 보슬레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92. 알리라지푸르 국왕[편집]


알리라지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알리라지푸르 국왕
알리라지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프라탑 싱 2세
전임자비자이 싱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93. 보르 국왕[편집]


보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보르 국왕
보르 번왕
작위 요구자슈리만트 사다시브라오 라구나트라오
전임자라구나트라오 샹카라오 판트 사치브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94. 바스타르 국왕[편집]


바스타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바스타르 국왕
바스타르 번왕
작위 요구자카말 찬드라 반즈 데오
전임자프라풀라 쿠마리 데비
계승 실패 사유1948년 왕국 멸망


3.2.95. 반스다 국왕[편집]


반스다 왕국 국장
관련 칭호반스다 국왕
반스다 번왕
작위 요구자자이비렌드라신지 디그비렌드라신지 솔랑키
전임자디그비렌드라신지 인드라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8년 왕국 멸망


3.2.96. 발라시노르 국왕[편집]


발라시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발라시노르 국왕
발라시노르 번왕
작위 요구자살라우딘칸 바비
전임자무함마드 살라바트 칸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97. 보팔 나왑[편집]


보팔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보팔 나왑
작위 요구자사이프 알리 칸
전임자만수르 알리 칸 파타우디
계승 실패 원인1949년 나왑국 멸망
현 나왑위 요구자 사이프 알리 칸은 후술할 내용대로 파타우디의 나왑위 요구자이기도 하다. 현재 보팔 나왑위와 파타우디 나왑위를 같은 가문에서 요구하는 이유는 하미둘라 칸을 마지막으로 보팔 나왑 가문의 남계 혈통이 단절되고 그의 외동딸 사지다 술탄이 파타우디 나왑위 요구자였던 이프티카르 알리 칸 파타우디와 결혼하여 이들의 자손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3.2.98. 알와르 국왕[편집]


알와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알와르 국왕
알와르 번왕
작위 요구자지텐드라 싱
전임자테지 싱 프라바카르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99. 잘라와르 국왕[편집]


잘라와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잘라와르 국왕
잘라와르 번왕
작위 요구자찬드라지트 싱
계승 실패 원인1949년 나왑국 멸망


3.2.100. 마니푸르 국왕[편집]


마니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마니푸르 국왕
마니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레이솀바 사나자오바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1. 마유르반지 국왕[편집]


마유르반지 왕국 국장
관련 칭호마유르반지 국왕
마유르반지 번왕
작위 요구자프라빈 찬드라 반지 데오
전임자프라디프 찬드라 반지 데오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2. 돌푸르 국왕[편집]


돌푸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돌푸르 국왕
돌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헤만트 싱
전임자프라탑 싱 나바
후임자두샨트 싱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3. 가르왈 국왕[편집]


가르왈 왕국 국기
관련 칭호가르왈 국왕
가르왈 번왕
작위 요구자마누젠드라 샤
전임자마나벤드라 샤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4. 곤달 국왕[편집]


곤달 왕국 국장
관련 칭호곤달 국왕
곤달 번왕
작위 요구자히만슈신지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5. 카라울리 국왕[편집]


카라울리 왕국 국장
관련 칭호카라울리 국왕
카라울리 번왕
작위 요구자가네쉬 팔
전임자봄 팔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6. 통크 나왑[편집]


통크 나왑국 국장
관련 칭호통크 나왑
작위 요구자무함마드 이스마일 칸
전임자무함마드 파루크 알리 칸
계승 실패 원인1949년 나왑국 멸망


3.2.107. 트리푸라 국왕[편집]


트리푸라 왕국 국장
관련 칭호트리푸라 국왕
트리푸라 번왕
작위 요구자프라디오트 비크람 마니캬 데브 바르만 바하두르
전임자키리트 비크람 키쇼레 데브 바르만 바하두르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8. 프라탑가르 국왕[편집]


프라탑가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프라탑가르 국왕
프라탑가르 번왕
작위 요구자자이 싱 시소디아
전임자람 싱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09. 분디 국왕[편집]


분디 왕국 국장
작위 요구자반슈바르단 싱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10. 시로히 국왕[편집]


시로히 왕국 국장
관련 칭호시로히 국왕
시로히 번왕
작위 요구자라구비르 싱
전임자아바이 싱 바하두르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11. 코친 국왕[편집]


관련 칭호코친 국왕
코친 번왕
작위 요구자라비 바르마 6세
전임자라마 바르마 21세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12. 코타 국왕[편집]


코타 왕국 국장
관련 칭호코타 국왕
코타 번왕
작위 요구자이지야라지 싱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13. 산두르 국왕[편집]


산두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산두르 국왕
산두르 번왕
작위 요구자아자이 무라리라오 고파데
전임자무라리라오 예쉬완트라오 고파데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14. 바로다 국왕[편집]


바로다 왕국 국장
관련 칭호바로다 국왕
바로다 번왕
작위 요구자사마르지트신 란지트신 가에크와드
전임자란지트신 프라탑신 가에크와드
계승 실패 원인1949년 왕국 멸망


3.2.115. 바라운다 국왕[편집]


바라운다 왕국 국장
관련 칭호바라운다 국왕
바라운다 번왕
작위 요구자람 프라탑 싱
전임자가야 프라사드 싱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16. 삼타르 국왕[편집]


삼타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삼타르 국왕
삼타르 번왕
작위 요구자란지트 싱 주데오
전임자라다 차란 싱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17. 판나 국왕[편집]


판나 왕국 국기
관련 칭호판나 국왕
판나 번왕
작위 요구자라가벤드라 싱 주데오
전임자만벤드라 싱 주데오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18. 차르카리 국왕[편집]


차르카리 왕국 국장
관련 칭호차르카리 국왕
차르카리 번왕
작위 요구자자얀트 싱 주데오
전임자자옌드라 싱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19. 차타르푸르 국왕[편집]


차타르푸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차타르푸르 국왕
차타르푸르 번왕
작위 요구자쿤와르 비크람 싱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20. 인도레 국왕[편집]


인도레 왕국 국장
관련 칭호인도레 국왕
인도레 번왕
작위 요구자우샤 데비 홀카르
전임자야쉬완트 라오 2세 홀카르 14세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21. 다티아 국왕[편집]


다티아 왕국 국장
관련 칭호다티아 국왕
작위 요구자아루나디티아 싱 주데오
전임자라젠드라 싱 주데오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22. 두르와이 디완[편집]


두르와이 국기
관련 칭호두르와이 디완[19]
작위 요구자주갈 프라사드 싱
전임자란조르 싱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23. 나고드 국왕[편집]


나고드 왕국 국기
관련 칭호나고드 국왕
나고드 번왕
작위 요구자마헨드라 싱
전임자나라렌드라 싱
계승 실패 원인1950년 인도에 합병


3.2.124. 잠무 카슈미르 국왕[편집]


잠무 카슈미르 왕국 국장
관련 칭호잠무 카슈미르 국왕
잠무 카슈미르 번왕
작위 요구자비크라마디트야 싱
전임자하리 싱[20]
계승 실패 원인1952년 인도에 합병됨.
원래의 잠무 카슈미르 지역은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이라는 준독립국으로 지금의 카슈미르 지역 전체를 다스리는 나라였는데, 1947년에 인도파키스탄이 차례로 독립하면서 두 나라 사이에 끼이고 만다. 당시 번왕이었던 하리 싱은 카슈미르 전 지역을 독립국으로 만들고 싶어했으나, 국력이 너무 미약했고 국민들 사이에서도 독립은 무리라는 여론이 퍼지면서[21] 하는 수 없이 타국으로의 합병을 결정하고는, 하리 싱 본인도 퇴위를 결정하고 아들인 카란 싱을 잠무 카슈미르의 섭정으로 선포하면서 실권을 넘겼고[22], 이대로 왕위가 부활하지 못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문제는 카슈미르 전 지역이 이슬람교 우세 지역인데 반해, 잠무 카슈미르 왕실은 힌두교를 믿어서 국민투표도 없이 멋대로 인도로의 귀속을 선포했고, 그 결과, 당연히 파키스탄으로 귀속되는 줄로만 알던 카슈미르인들과 파키스탄 정부에 제대로 어그로를 끌어 버린 바람에 카슈미르 전체에 헬게이트가 도래해 버렸다는 것이다(...). 이 사건의 여파로 카슈미르 자체도 인도령인 잠무 카슈미르와 파키스탄령인 아자드 카슈미르길기트 발티스탄, 그리고 중국의 불법 점령지역인 아크사이친으로 뿔뿔이 분열되었고[23], 지금까지도 카길 전쟁이니, 시아첸 빙하 분쟁이니 하는 등의 온갖 분쟁으로 인해 인도파키스탄 양국 간에 긴장을 불러 일으키게 되었다. 즉, 하리 싱과 카란 싱 부자가 카슈미르 분쟁의 원흉들이다. 여담이지만 만약 카슈미르가 처음부터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면 잠무 카슈미르의 왕위 요구자는 본 항목에서 인도가 아닌 파키스탄의 작위 요구자로 분류되었을지도 모른다.


3.2.125. 쿠틀레하르 국왕[편집]


쿠틀레하르 왕국 국기
관련 칭호쿠틀레하르 국왕
쿠틀레하르 번왕
작위 요구자부디쉬와르 팔
전임자마헨드라 팔지 바하두르
계승 실패 원인1957년 인도에 합병


3.2.126. 시킴 초걀[편집]


시킴 문장
관련 칭호시킴 초걀[24]
작위 요구자왕축 남걀
전임자팔덴 톤두프 남걀
후임자팔덴 규르메드 남걀
계승 실패 원인1975년 인도에 합병
1975년에 시킴 왕국이 인도에 합병되어 인도령 시킴 주가 된 뒤에도 시킴 왕국의 왕족 후손들은 어느 정도 옛 기득권을 인정받고 있다. 시킴 주에 들어가려면 인도 본토와는 별개의 비자가 필요하다고 한다.

현 초걀위 요구자 왕축 남걀은 마지막 군주 팔덴 톤두프 남걀의 차남이다. 그에게는 자녀가 없으므로 왕축 남걀이 세상을 떠나면 동생인 팔덴 규르메드 남걀이 다음 초걀위 요구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0:22:12에 나무위키 작위 요구자/아시아/인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마라타 동맹의 군주를 가리키는 명칭이다.[2] 세포이 항쟁 지도자들이 바하두르 샤 2세를 옹립했다. 영국 국왕이 멋대로 자칭한 인도 제국의 황제보다는 이쪽이 인도 황제를 자칭할 명분이 더 충분했다. 물론 인도의 힌두교 근본주의자들에게는 무굴 제국 황제위 요구자든 인도 제국 황제위 요구자든 간에 똑같이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이슬람교/기독교)를 믿는 이민족 침략자의 후손일 뿐이지만 말이다.[3] 이 사건은 '하나의 인도'이라는 의식이 없었던 인도인들에게 국민주의적인 감정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때 생긴 반영 감정으로 인해 지금도 인도는 완전하게 친서방 국가를 자처하지 않고 있으며, 영국과의 협력을 일체 거부하고 있다. 다만 영국을 제외한 다른 영미권 국가들과는 대체로 사이가 좋은 편이며 프랑스와도 사이가 좋다.[4] 여담으로, 바하두르 샤 2세양곤으로 추방되기 전에 촬영된 사진이 있는데, 이 사진은 무굴 제국의 황제를 촬영한 유일한 사진이라고 한다. 한국어 위키백과바하두르 샤 2세 문서에 이 사진이 실려 있다.[미르자] A B C [에른스트] A B C [5]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5세의 아들.[6] 성씨에 Königlicher Prinz von Großbritannien und Irland를 추가했다.[7] 타쿠르 사힙은 림브디의 군주를 가리키는 명칭이다.[8] 타쿠르는 라지파라와 일롤의 군주를 가리키는 단어다.[9] 라자 사힙은 다달리아의 군주를 가리키는 명칭이다.[10] 잠 사헵은 나와나가르의 군주를 가리키는 단어다.[11] 데쉬무크는 수르가나의 군주를 가리키는 단어다.[12] 현 왕위 요구자와 동명이인이다.[13] 하이데라바드의 군주를 가리키는 명칭이다.[14] '아사프 자 ○세'하는 식으로 계승되었다. 태국 국왕의 칭호가 '라마 ○세'인 것과 같다.[15] 다만, 이때는 아직 인도 자치령이라는 이름의 영연방 왕국이었다.[16] 당시에 동파키스탄이라는 이름으로 가지고 있던 방글라데시의 훗날 일어난 독립운동도 지리적으로 너무 멀리 떨어진 관계로 막지 못했다. 만일 하이데라바드를 받아들였으면, 이곳이 제2의 방글라데시가 되어 된통 피바다가 났을 것이다.[17] 국교는 이슬람교였지만, 정작 무슬림은 한줌도 되지 않았고, 주민들의 절대 다수가 힌두교도였기 때문이다.[18] 왕호는 아사프 자 7세다.[19] 디완은 두르와이와 자소의 군주를 가리키는 칭호다.[20] 비크라마디트야 싱의 할아버지로, 아들인 카란 싱은 잠무 카슈미르의 번왕이 아니라, 섭정으로서 잠시 통치했다.[21] 아이러니하게도 현재는 인도 및 파키스탄으로부터의 독립을 적극적으로 원하는 카슈미르인들이 늘어나고 있다.[22] 잠무 카슈미르 왕실을 해산한 건 아니니, 이들은 작위 요구자가 맞다.[23] 아크사이친 자체는 사람도 살지 않고, 풀 한 포기 없이 메말라있는 쓸모없는 황무지에 불과하지만, 카슈미르 지역의 교통의 요지로 꼽히는 곳 중의 하나였던 지라, 이곳에 대한 중국의 불법적인 점령은 인도를 굉장히 빡치게 만들었다. 그래서 똑같이 중국이 탐을 내던 지역 중, 대대적인 농업이 이루어질 만큼 풍요롭고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에는 대규모의 군대를 주둔시켜서 중국이 함부로 넘보지 못하게 했다.[24] 초걀은 시킴과 라다크의 군주의 명칭이다. 부탄에도 초걀이 있는데, 군주가 아니라 영적 지도자다.